어떤 정책이 좋은 경제정책일까
본문
어떤 정책이 좋은 경제정책일까.
생성과 소멸, 진화를 거듭해 온 경제학파의 역사에서 답을 구해 보자.
◇노동가치설에서 한계혁명까지 경제학자들은 18세기를 근대 경제학의 출발점으로 본다.
그중에서도 1776년은 주목할 만한 해다.
비용이 상품이나 서비스 가격을 결정한다는 관념은 오래된 착각이다.
그 기원은 18세기 경제학자들의노동가치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노동가치설은 이미 150년 전 오스트리아 경제학자 카를 멩거가 주창한 ‘주관적 가치론’에 의해 깨졌다.
분들을 만날 때마다 늘 드는 인상인데요.
그 경제적 가치를 뭘로 판단하느냐 했을 때 투입되는 노동량으로만 해야 된다는 게노동가치설이고 창출하는 효용으로 해야 된다는 게 효용가치설인데 현대 경제학은 효용가치설로 가고 있거든요.
식품업체들이 원재료 가격 상승분 이상으로 소비자 가격을 올려 폭리를 취했다는 식의 비판은 모두노동가치설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노동가치설로 설명하기 힘든 현상이 많다.
소득 상위 1% 가수들의 평균 소득은 연 50억원 가까이 된다.
같은 시간을 일해도 보상은 천차만별이다.
서울과 뉴욕의 엔지니어 소득은 같을 수가 없다.
‘동일노동동일임금’은 철 지난노동가치설에 입각한 사회적 분배 논리일 뿐, 가만히 살펴보면 동일노동이라는 것은 없다.
무엇보다 시장이 다르고 사람의.
생산에 투입한 노동량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으로 애덤 스미스와 데이비드 리카도에 이어 카를 마르크스가 계승 발전시켰다.
노동가치설은 1870년대에 이르러 오스트리아 경제학자 카를 멩거와 영국 경제학자 윌리엄 제본스의 ‘한계효용이론’에 의해 잘못된 것.
중국 소식통들은 15일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 겸 당총서기가 오는 16大에서발표할 1만단어 실무 보고서에서 마르크스의 `노동잉여가치설"을 격하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장 주석은 노동자들의 생산력 뿐만 아니라 자본가나 전문가 등의 기술혁신과 창조성도.
운동권의 민낯이었다"며 "집에서 운동가요를 들으며 펑펑 울기도 하고, 강연하다가도 울컥했다"고 토로했다.
그는 "좌파라면노동가치설을 신봉하고 불로소득에 거부감이 있어야 한다.
나는 수십 년째 빌라에 산다.
독일에서 공부하는 아들이 학자금 융자를 받는다며.
경제 교육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전의 논의는 ‘주류(효용가치설) 및 비주류(마르크스주의) 경제학 교육이 모두 필요한가’라는 물음.
예를 들어, ‘인공지능의 진화로노동시장은 어떤 영향을 받을까’라는 과제를 학생이 발견하고, 그.
우리나라도 1970~80년대 전국 공단을 중심으로 왕성했다.
그런데 이때 이윤은 오직 노동자의노동으로부터만 생겨난다(노동가치설).
마르크스는 노동자에 돌아갈 가치를 자본가가 일부는 자기 이윤으로 가져가고, 또 일부는 경영 자본금으로 재투자.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문의처
043-750-2366
E-mail. jihyun@kistep.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