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부심을 보여주는 얼굴이다.
본문
미호동 주민들의 자부심을 보여주는 얼굴이다.
6월24일꿀벌에게 안전한 서식처와 먹이원을 제공하기 위해 주민들이 만든 ‘윙윙꿀벌식당’ 매니저 5명이 밭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종석씨, 양옥희씨, 오인세 반장, 하종대씨, 강경규 매니저.
대전충남녹색연합 기후투어 참가자들이 지난달 28일 대전 대덕구 미호동 ‘윙윙꿀벌식당’을 둘러보고 있다.
꿀벌들이윙윙날갯짓하는 소리가 들릴 거예요.
” 지난달 28일 오전 대전 대덕구 미호동 ‘윙윙꿀벌식당.
제공하기 위한 ‘윙윙꿀벌식당’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대청댐 인근 마을인 미호동에 조성된윙윙꿀벌식당은 기후변화로 사라져가는꿀벌들을 지키기 위해 밀원 식물을 심고 가꾸는 곳이다.
이후 에너지전환해유는 지난 6월 충남 예산과 홍성, 대전.
대전충남녹색연합이 주최한 기후투어 참가자들이 지난달 28일 대전 대덕구 미호동에 있는 ‘윙윙꿀벌식당’을 둘러보고 있다.
9∼10월 꽃은 월동용 꿀단지…600평에 쉬나무 등 심어꿀 많고 재배 쉬운 들깨도…‘대량 실종’ 막을 대안 주목 “잠시 조용히 귀를.
위기로 사라지는꿀벌들에게 먹이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대청댐 인근 마을인 미호동에 조성된 ‘윙윙꿀벌식당’은 기후변화로 사라져가는꿀벌들을 지키기 위해 밀원식물을 심고 가꾸는 곳이다.
이후 에너지전환해유는 지난 6월 예산과 홍성, 미호동 일원.
해결을 위해 활동한 내용이 담겨 있다.
에너지전환해유와 미호동 주민들은 그동안 마을에서 넷제로장터와 에너지주민학교,윙윙꿀벌식당, 솔라시스터즈, 정부R&D 사업 ‘마이크로그리드(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하는 지역화된 에너지 시스템)’ 실증, 국내 최초 RE100.
자립마을의 모습을 생생하게 안내한다.
올해는 미호동의 77세 어르신 1명을 에너지전환해유에서 직접 고용,꿀벌과 생태계 보호를 위한 '윙윙꿀벌식당'에서 밀원작물을 관리하는 반장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대표적인 밀원작물 들깨를 재배하고 있으며, 토종종자와.
어제(6일) 서울 시내의 한식당앞에 뜻밖의 불청객이 찾아와 소동을 빚었습니다.
한둘이 아닌 수백에 이르는 무리가 몰려와서 인근.
떨었는데요, 불청객의 정체는 다름 아닌꿀벌이었습니다.
<오! 클릭> 세 번째 검색어, '꿀벌소동'입니다.
1시 37분께 서울 신촌 로터리 근처 골목길에꿀벌수백 마리가 나타났다.
소방이 쳐놓은 접근금지선에도꿀벌들이 달라붙어 있다.
신촌역 8번 출구에서 200m 떨어진 골목길식당앞 화분을 중심으로 날아다녔다.
꿀벌수백 마리가 날아다니는 바람에 골목 안식당들.
신촌역 8번 출구에서 200m쯤 떨어진 골목길식당앞에 놓인 화분이었다.
구조대가 출동한 현장 일대에서는꿀벌수백마리가윙윙소리를 내며 날아다니고 있었다.
식당은 영업을 못하는 상태였다.
한 구조대원은 "제가 아는 바로는꿀벌들이 여왕벌을 따라 이동.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문의처
043-750-2366
E-mail. jihyun@kistep.re.kr